생활법률 가이드/생활법 가이드

계약서 외 구두 약속 위반 대응 방법|법적으로 인정되는 증거와 실제 대응 절차

로앤조이 2025. 11. 9. 13:00

계약서에 없는 약속, 말로만 믿었다가 분쟁으로 이어진 경험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구두 약속(구두계약)의 법적 효력, 증거로 인정되는 기준,
그리고 실제 대응 절차를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계약서 외의 구두 합의로 인한 피해, 이렇게 대응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목차

  1. 계약서 외 구두 약속, 법적으로 효력 있을까?
  2. 구두 합의가 분쟁으로 번질 때 필요한 증거
  3. 실제 법원 판결 사례와 대응 절차
  4. 구두 약속 분쟁 예방·해결을 위한 실전 팁 요약

계약서 외 구두 약속 위반 대응 방법|법적으로 인정되는 증거와 실제 대응 절차

1. 계약서 외 구두 약속, 법적으로 효력 있을까?

많은 분들이 “말로 한 약속은 소용없다”고 생각하지만,
민법상 구두 약속도 ‘계약의 한 형태’로 인정됩니다.
즉, 서면이 아니더라도 쌍방의 의사 합치가 있었다면, 계약은 성립한 것으로 봅니다.

다만 현실에서는 ‘입증’이 어렵다는 문제가 생기죠.
법원은 구두 약속의 존재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황·증거가 있을 때만 인정합니다.

예를 들어,

  • 대화 녹취
  • 문자·카카오톡 메시지
  • 이메일
  • 거래 영수증, 일정 기록 등
    이런 자료들이 실제 구두 약속이 있었다는 근거로 쓰입니다.

⚖️ 핵심 요약:
말로 한 약속도 계약이지만, 증거로 남겨야 효력이 발생합니다.
증거가 없다면 “주장”에 불과하게 됩니다.

2. 구두 합의가 분쟁으로 번질 때 필요한 증거

구두 합의 위반이 발생했다면 우선 증거 수집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다음 순서로 정리해보세요.

 

1️⃣ 대화 내용 보존
휴대폰 통화 녹음, 문자 캡처, 카톡 대화는 삭제하지 말고 모두 저장합니다.

 

2️⃣ 주변 증인 확보
해당 약속을 함께 들은 제3자 진술은 신빙성이 높게 평가됩니다.

 

3️⃣ 정황증거 수집
약속 내용이 반영된 일정표, 영수증, 송금 내역 등 간접증거도 모두 중요합니다.

 

4️⃣ 내용증명 발송
위반 사실을 명시하고, 구두 합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은 내용증명을 보내면 향후 소송 시 입증력이 커집니다.

💬 예를 들어, “이달 내 수리해준다”는 구두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
내용증명에 약속일·약속자·내용·피해 사실을 함께 적으면
법원은 ‘사실상 구두계약’으로 인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실제 법원 판결 사례와 대응 절차

법원은 구두 약속이더라도 입증 가능한 자료가 있으면 계약 효력 인정 판결을 내립니다.

사건 유형 주요 쟁점 법원 판단 결과
임대차계약 중 보일러 수리 약속 계약서엔 미기재, 문자로 약속 임대인 수리 의무 인정
중고차 거래 시 추가 수리비 약속 구두로만 약속, 녹취 있음 계약 일부로 인정, 손해배상 명령
인테리어 업체와 구두 일정 합의 일정 어겼지만 증거 부족 증거 불충분, 청구 기각

 

이처럼 증거 유무가 판결의 핵심입니다.

대응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내용증명 발송 → 2️⃣ 합의 요청 → 3️⃣ 조정 신청(법원 or 소비자원) → 4️⃣ 민사소송 제기

⚖️ 구두 약속도 결국 “증거 싸움”입니다.
작은 녹취 하나, 메시지 한 줄이 승소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4. 구두 약속 분쟁 예방·해결을 위한 실전 팁 요약

1️⃣ 중요 약속은 반드시 문자로 확인 남기기
“오늘 약속하신 ○○ 부분은 ○일까지 처리해주신다고 하셨죠?”처럼
간단히 정리된 문자를 남겨두면 향후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2️⃣ 대화 녹취는 가능하지만 상대방 모르게 불법 녹취는 주의
본인이 대화 당사자라면 녹취는 합법입니다. 단, 제3자 대화는 불법입니다.

 

3️⃣ 내용증명은 빠를수록 효과적
약속 불이행이 발생하자마자 보내야 상대방의 거짓 주장(“그런 말 한 적 없다”)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4️⃣ 계약서 작성 시 특약란 적극 활용
구두 약속을 미리 특약으로 넣어두면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정리

  • 구두 약속도 법적 계약이지만, 증거 확보가 필수
  • 문자, 녹취, 제3자 진술 등으로 입증 가능
  • 증거만 충분하면 법원에서도 효력 인정
  • 약속 불이행 시 내용증명 → 조정 → 소송 절차로 대응 가능

💡 핵심 문장:
“계약서는 종이로 남지만, 구두 약속은 증거로 남아야 효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