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채팅 앱을 통한 투자·다단계 사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법적 대응 방법, 신고 절차, 손해배상 청구 요건을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 목차

“DM 하나로 시작된 투자 제안, 알고 보니 정교한 사기였다.”
최근 SNS·메신저를 통해 접근하는 투자 사기, 다단계 유사수신 범죄가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법적 대응 절차와 구제 방법, 그리고 사전에 알아야 할 예방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1️⃣ SNS·채팅 앱 사기 주요 유형
SNS, 카카오톡, 텔레그램, 오픈채팅방 등에서 이뤄지는 신종 금융 사기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납니다.
① 투자 리딩방 사기
“VIP 리딩방 초대드립니다”라는 문구로 접근해 가짜 수익 인증 캡처를 보여주며 투자금을 유도합니다.
→ 실제로는 허위 리딩방 운영자가 돈을 모아 잠적하거나, 불법 유사수신행위(자본시장법 위반) 로 처벌됩니다.
② 다단계·코인 투자 사기
“소액 투자로 월 10% 수익”이라는 말로 신규 회원을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피라미드식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방문판매법 제37조에 따른 다단계판매 금지 행위로 형사처벌 대상입니다.
③ SNS 연애·신뢰 기반 투자 유도 (로맨스 스캠)
SNS에서 친밀감을 쌓은 뒤 “해외투자 계좌 개설을 도와주겠다”는 식으로 접근합니다.
→ 피해금 송금 후 연락이 두절되며, 국제 송금 추적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 대화에서 투자로 넘어가는 순간, 법적 위험이 시작됩니다.”
2️⃣ 관련 법률 및 처벌 기준
SNS·채팅 앱 사기는 상황에 따라 여러 법률이 동시에 적용됩니다.
| 적용 법률 | 주요 내용 | 처벌 기준 |
| 형법 제347조 (사기죄) | 타인을 속여 재산상 이익을 취득 | 징역 10년 이하 / 벌금 2천만 원 이하 |
| 방문판매법 제37조 | 불법 다단계 및 유사수신 행위 | 징역 7년 이하 / 벌금 2억 원 이하 |
| 자본시장법 제179조 | 미등록 투자중개·금융사기 | 징역 5년 이하 / 벌금 2억 원 이하 |
| 정보통신망법 제48조 | 허위 정보 유포, 피싱 사이트 유도 | 징역 7년 이하 / 벌금 7천만 원 이하 |
법적 포인트:
- SNS·메신저를 통한 “비공식 투자 권유”는 대부분 금융감독원 미인가 행위에 해당합니다.
- 투자 손실을 보전해준다는 표현이 포함되어 있다면, 유사수신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사기 피해자는 형사 고소 + 민사 손해배상 청구를 병행해야 실질적 회수가 가능합니다.
⚠️ “불법 투자조직에 단순 가입만 해도, 공범으로 의심받을 수 있습니다.”
3️⃣ 피해자 법적 대응 절차
① 즉시 신고 및 계좌 지급정지
- 112 신고 / 사이버범죄신고시스템 (ecrm.police.go.kr) 접수
- 금융기관에 사기이용계좌 신고 → 피해금 환급 절차(금융사기 피해금 환급법)
② 증거 확보
- SNS 대화 내역, 입금증, 홍보자료, 투자 안내 PDF, 리딩방 초대 링크 등 모두 캡처
- 특히 가짜 홈페이지 URL, 송금 계좌번호, 운영자 닉네임은 반드시 저장
③ 형사 고소
- 사기죄, 유사수신행위, 자본시장법 위반 등으로 고소 가능
- 피해금 규모가 크면 특경법(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적용으로 형량 가중
④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 피해자 단체로 묶어 집단 소송 또는 공동소송 진행 가능
- 피의자 재산에 대해 압류·가압류 신청
4️⃣ 실제 구제 사례 및 요약 정리
[사례 1] 텔레그램 코인 투자방 사기 (2023)
- ‘코인 전문가’ 행세하며 수익 인증 조작
- 피해자 120명, 피해금 18억 원
- 주범 징역 8년, 공범 징역 4년 선고
[사례 2] 오픈채팅방 리딩방 사기 (2024)
- 유사수신행위로 자금 모집, 3개월 만에 잠적
- 피해자 63명, 총 7억 원 손실
- 피해자 공동소송으로 일부 환급 성공
[사례 3] SNS 연애 사기 (로맨스 스캠)
- ‘투자 플랫폼 링크’로 해외 송금 유도
- 송금액 2,000만 원 중 70% 환급 성공 (인터폴 협조 사례)
✅ 요약 정리
| 구분 | 핵심 내용 |
| 사기 유형 | 리딩방 사기, 다단계 코인, 로맨스 스캠 |
| 주요 법률 | 형법, 방문판매법, 자본시장법, 정보통신망법 |
| 신고처 |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금융감독원, 통신사 |
| 대응 포인트 | 증거 확보 → 형사 고소 → 민사 청구 병행 |
| 예방 팁 | 투자 권유 DM은 100% 의심, 수익 인증은 대부분 조작 |
정리:
SNS·채팅앱을 통한 사기 행위는 디지털 공간에서 벌어지는 전형적인 생활법 분쟁입니다.
“좋은 투자 기회”라는 말보다, 법적으로 안전한 거래를 먼저 확인하세요.
피해를 입었다면 망설이지 말고 즉시 신고·법률상담·증거 확보, 이 세 가지를 기억하세요.
'생활법률 가이드 > 생활법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중고거래 사기 환불 절차 총정리|실제 신고·환불 성공 사례까지 (0) | 2025.11.05 |
|---|---|
| 대출사기 문자 실제 신고 후 환급 후기 정리 – 피해 구제 절차 완벽 가이드 (0) | 2025.11.04 |
| 대출사기 문자 대응법 – 신종 피싱 수법과 즉시 차단·신고 절차 총정리 (0) | 2025.11.03 |
| 보이스피싱 피해금 환급,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0) | 2025.11.02 |
| 문자·전화 사기 법률 책임 총정리 (0) | 2025.10.31 |
| 보이스피싱 예방 기술 총정리 (0) | 2025.10.30 |
| 보이스피싱 피해금 반환 소송 절차 및 사례 (0) | 2025.10.29 |
| 렌탈·구독·무형 서비스 사기 – 계약 해지 및 피해 회수법 (0) | 202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