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탈 사기, 구독 서비스 자동결제 피해, 무형 서비스(코칭·디자인·앱 등) 사기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피해 사례부터 계약 해지 절차, 환불 소송 및 피해금 회수 방법까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 목차
- 렌탈·구독·무형 서비스 사기의 실태와 주요 유형
- 사기 피해 발생 시 즉각적인 계약 해지 절차
- 결제 취소·환불 청구·민사 소송까지 실전 대응법
- 피해 예방 및 안전한 서비스 이용 체크리스트

1️⃣ 렌탈·구독·무형 서비스 사기의 실태와 주요 유형
최근 렌탈, 정기 구독, 온라인 서비스 결제 사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료 체험 후 자동결제’, ‘렌탈 명목 대여 사기’, ‘무형 서비스(코칭·디자인·교육 등) 선입금 후 미이행’ 유형이 많습니다.
주요 유형 예시:
- 렌탈 사기: 공기청정기·안마의자 등 렌탈 계약을 가장한 제품 미배송, 렌탈 종료 후 보증금 미반환.
- 구독 사기: 1개월 체험 후 자동결제 전환 및 해지 불가 고지 미이행.
- 무형 서비스 사기: SNS 광고로 모집된 ‘부업·교육·컨설팅’ 등 계약 불이행 및 일방적 연락 두절.
실제 사례:
한 소비자는 유명 브랜드를 사칭한 렌탈 업체에 24개월 약정을 맺고 3개월치 요금을 선납했으나, 물건 미배송 및 연락 두절로 피해 발생. 경찰 조사 결과 무등록 업체로 확인되어 사기죄(형법 제347조) 적용.
2️⃣ 사기 피해 발생 시 즉각적인 계약 해지 절차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계약 해지 의사 표시를 해야 합니다.
특히 전자상거래법 제17조는 “소비자는 재화·용역 공급일로부터 7일 이내 청약철회 가능”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① 계약 해지 통보 방법
- 서면(내용증명)으로 해지 통보: “계약 불이행 및 기망에 따른 계약 해지 통보” 명시
- 사업자 연락이 두절된 경우, 주소지 기준으로 내용증명 우편 발송
- 구독 서비스의 경우, 앱·홈페이지 자동결제 해지 즉시 진행
② 해지 통보 내용 예시문
“귀사의 계약상 의무 불이행으로 인한 서비스 미제공 사실을 통보하며, 본 계약은 즉시 해지함과 동시에 선납금 환불을 청구합니다.”
③ 관련 법률
- 전자상거래법 제17조(청약철회)
- 소비자기본법 제16조(손해배상)
- 형법 제347조(사기죄)
POINT: 문자·이메일·통화기록 등 계약 해지 의사표시는 모두 증거로 인정됩니다.
3️⃣ 결제 취소·환불 청구·민사 소송까지 실전 대응법
사기 피해금 회수를 위해선 결제 수단별 절차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① 카드 결제:
- 카드사 고객센터 → “사기 피해로 인한 거래취소 요청”
- 전자상거래법 제18조 2항 근거로 카드사에 결제중지·환불 청구 가능
- 피해확인서·경찰 신고서 제출 시 조기 환불 처리 가능
② 계좌이체:
- 은행 고객센터 → “지급정지 요청” 및 ‘사기계좌 피해신고 접수’
- 금융감독원(☎1332) 신고 병행
③ 민사소송 절차:
- 피해금이 3천만 원 이하: 소액사건심판청구 가능
- 소장에 “기망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 명시
- 상대방이 고의적으로 피해를 유발했을 경우, 사기죄 고소(형사절차) 병행 가능
4️⃣ 피해 예방 및 안전한 서비스 이용 체크리스트
① 계약 전 필수 확인
- 사업자등록번호·통신판매업 등록번호 조회
- 계약서상 해지 조항·환불 규정 명확히 확인
- “무료 체험”, “선착순 혜택” 문구는 기망 광고 가능성 검토
② 결제 시 주의
- 신뢰 가능한 플랫폼(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 이용
- 자동결제 ON 여부 반드시 확인 후 구독
- 무형 서비스의 경우 계약서에 “결과 미달 시 환불” 조항 명시
③ 피해 발생 시 즉시 신고
- 경찰청 사이버수사대(police.go.kr)
-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상담센터(1372)
- 금융감독원 피해상담(1332)
💡 TIP: 계약 전 후기 검색과 사업자 실명 확인만으로 80% 이상 피해 예방이 가능합니다.
✅ 요약 정리
- 렌탈·구독·무형 서비스 사기는 기망행위로 계약을 체결시켜 금전적 피해를 입히는 행위입니다.
- 피해 즉시 계약 해지 및 결제 중단 요청 → 경찰 신고 및 민사소송 순으로 대응하세요.
- 내용증명·거래내역 보관은 모든 환불 소송의 핵심 증거입니다.
- 구독형 서비스는 반드시 자동결제 해지 및 약관 확인으로 사전 차단하세요.
요약 끝:
“무료 체험이라 방심한 순간, 자동결제가 시작됩니다.”
렌탈·구독·무형 서비스 피해는 법으로 충분히 되돌릴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계약서를 다시 한 번 확인해보세요 — 당신의 한 줄 서명이 금전 피해를 막는 첫 걸음입니다.
'생활법률 가이드 > 생활법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NS·채팅 앱 사기 대응법 총정리 (0) | 2025.11.01 |
|---|---|
| 문자·전화 사기 법률 책임 총정리 (0) | 2025.10.31 |
| 보이스피싱 예방 기술 총정리 (0) | 2025.10.30 |
| 보이스피싱 피해금 반환 소송 절차 및 사례 (0) | 2025.10.29 |
| 물건 판매 거래 사기(중고거래·당일 직거래) 사례와 환불 소송 절차 (0) | 2025.10.27 |
| 명의도용 사기, 통장·신용카드 도용 대응 방법 (0) | 2025.10.26 |
| 원격제어·스미싱 사기: 앱 설치 유도 수법과 차단법 (0) | 2025.10.26 |
| 기관사칭 보이스피싱 법적 대응 안내 (0) | 2025.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