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으로 송금된 돈, 정말 돌려받을 수 있을까? 피해금 반환 소송 절차부터 실제 환급 판례까지 정리했습니다. 은행의 책임 범위와 환불 청구 요건, 피해금 회수 전략을 한눈에 확인하세요.
📑 목차

1️⃣ 보이스피싱 피해금 반환 청구의 법적 근거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가장 먼저 궁금해하는 질문은 “돈을 돌려받을 수 있나요?”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피해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반환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법적으로는 민법 제741조(부당이득반환) 조항에 따라, 사기범이나 그 계좌 명의인에게 **“부당이득 반환 청구”**가 가능합니다.
또한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2011) 제정 이후, 일정 절차에 따라 은행에서도 피해금을 환급 조치할 수 있습니다.
핵심 포인트:
- 사기범 외에도 **계좌 명의인(대포통장 제공자)**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 은행의 관리소홀로 인한 피해 발생 시, 금융기관 배상 책임이 인정된 사례도 있습니다.
“피해 즉시 은행에 지급정지 요청을 하면, 이후 소송 과정에서도 환급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피해금 환급 절차 — 지급정지부터 민사소송까지 단계별 정리
① 지급정지 요청 (즉시 조치)
- 입금 직후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보이스피싱 피해 지급정지 요청”
- 은행은 ‘사기이용계좌 신고’로 등록하고, 수취인 계좌를 30일간 정지 가능
② 피해금 환급 신청 (특별법 근거)
-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금 환급에 관한 특별법 제4조에 따라 신청 가능
- 필요서류: 피해신고서, 입금내역, 경찰 신고확인서
- 접수처: 입금한 은행 영업점 또는 인터넷뱅킹 센터
③ 민사소송 절차 (부당이득반환청구)
- 상대방: 계좌 명의인 또는 사기 공범
- 법적 근거: 민법 제741조~제749조(부당이득반환)
- 피해액 3천만 원 이하 → 소액사건심판제도 활용 가능
- 판결문 확보 후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으로 피해금 회수
④ 은행 상대 손해배상 소송 (부수적 절차)
- 은행이 ‘비정상 거래 탐지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일부 배상 판결 가능
- 실제로 법원은 금융기관의 과실 30% 인정한 사례도 있음
💡 TIP: 모든 서류는 ‘사기 발생 시점 기준 날짜’를 명확히 기록해야 합니다.
3️⃣ 실제 판례로 보는 반환 소송 사례 분석
사례 ① — 피해금 1,200만 원, 부분 환급 인정 (서울중앙지법 2022)
피해자가 금융기관에 즉시 지급정지를 요청해 600만 원 회수.
법원은 “피고 은행이 이상 거래를 인지하지 못한 과실이 일부 존재한다”며,
잔여 피해금 중 30% 배상 판결.
사례 ② — 계좌 명의인 상대로 전액 환급 명령 (부산지법 2023)
대포통장 명의자가 “계좌를 빌려줬을 뿐”이라 주장했지만,
법원은 “계좌를 제공한 행위 자체가 사기 공모로 인정된다”고 판시.
→ 부당이득 반환 명령으로 전액 환급 확정.
사례 ③ — 수사 종결 후 민사소송으로 환급 성공 (대전지법 2024)
피해금 800만 원이 이미 인출된 상태였으나,
피해자가 가해자의 추적 재산 압류 신청으로 500만 원 회수 성공.
법원은 “피해자의 신속한 증거 제출과 경찰 협조가 결정적이었다”고 판시.
4️⃣ 피해 회수율 높이는 실전 대응 팁
① 즉시 조치 3단계
- 은행 지급정지 요청 (전화 또는 방문)
- 112 신고 및 경찰 피해접수
- 피해금 환급신청서 제출
② 증거 확보 요령
- 입금 영수증, 문자·카톡 대화, 통화 녹음
- 계좌번호·예금주 실명 확인서
- 신고번호·접수일자 기록
③ 민사소송 시 핵심 포인트
- 사기계좌 명의인을 피고로 지정
- 부당이득 반환청구 금액 산정 시 송금액 전액 기재
- 판결 확정 후 채권압류명령서로 실질 회수 가능
④ 피해 예방 팁
- 정부24 ‘계좌사기 조회 서비스’ 이용
-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지킴이 앱’ 설치
- 대출·환급·세금 문자 클릭 금지
✅ 요약 정리
| 구분 | 주요 내용 | 관련 법령 |
| 지급정지 요청 | 즉시 은행에 전화, 30일 정지 가능 | 특별법 제4조 |
| 환급 신청 | 은행 또는 금융감독원 접수 | 특별법 제5조 |
| 민사소송 | 부당이득반환청구, 소액심판 가능 | 민법 제741조 |
| 판례 경향 | 계좌 명의인·은행 과실 인정 사례 다수 | - |
핵심 요약:
보이스피싱 피해금은 ‘사기이용계좌 지급정지 → 환급신청 → 민사소송’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은행의 과실이 인정되면 부분 환급, 계좌 명의인이 공모한 경우 전액 반환 판결도 가능합니다.
마지막 한 줄 정리:
“보이스피싱 피해금,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추적하세요.”
신속한 조치와 증거 확보가 당신의 돈을 되찾는 유일한 열쇠입니다.
'생활법률 가이드 > 생활법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보이스피싱 피해금 환급,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0) | 2025.11.02 |
|---|---|
| SNS·채팅 앱 사기 대응법 총정리 (0) | 2025.11.01 |
| 문자·전화 사기 법률 책임 총정리 (0) | 2025.10.31 |
| 보이스피싱 예방 기술 총정리 (0) | 2025.10.30 |
| 렌탈·구독·무형 서비스 사기 – 계약 해지 및 피해 회수법 (0) | 2025.10.28 |
| 물건 판매 거래 사기(중고거래·당일 직거래) 사례와 환불 소송 절차 (0) | 2025.10.27 |
| 명의도용 사기, 통장·신용카드 도용 대응 방법 (0) | 2025.10.26 |
| 원격제어·스미싱 사기: 앱 설치 유도 수법과 차단법 (0) | 2025.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