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 다이빙/🌱 입문 (체험)

숨참기 실수 TOP5 – 처음 하는 사람의 흔한 착각들

버블링 (Bubble-ing) by 버멍이 2025. 7. 7. 10:00

“숨을 오래 참는 게 중요한 줄 알았어요”

 

프리다이빙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건 숨참기지만,
가장 많이 실패하는 것도 바로 그 숨참기예요.
특히 처음 시작하는 입문자들이 잘못된 방법이나 착각으로
효율은 낮고, 위험만 높이는 실수를 자주 합니다.
오늘은 그런 실전 실패 사례 5가지를 정리해드릴게요.


→ 숨참기 훈련, 잘못하면 실력은 느는 게 아니라 위험만 쌓입니다.

 

 

프리다이빙 입문자가 자주 겪는 숨참기 실수 TOP5를 정리했습니다. 효과 없는 숨참기 방식, 흔한 착각, 훈련 전 주의점과 해결 방법까지 간단하고 현실적으로 안내해드립니다.

 

🧭 목차

  1. 숨참기 전 과호흡, 오히려 위험합니다
  2. 몸은 긴장한 채, 멘탈만 릴랙스?
  3. 참다 보면 길어진다? 뇌가 속고 있어요
  4. 회복 호흡 없이 바로 재도전, 산소 고갈 루트
  5. 초보자의 “한 번만 더”는 사고의 지름길

숨참기 실수 TOP5 – 처음 하는 사람의 흔한 착각들

 

1️⃣ 숨참기 전 과호흡, 오히려 위험합니다

❌ 실수 ①

숨을 오래 참으려고 숨을 ‘많이’ 쉬는 것

“더 많이 들이마시면 오래 참겠지” → 큰 오산

이건 **과호흡(hyperventilation)**이라고 해서
CO₂를 과도하게 배출시켜
몸이 숨참기의 위험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게 만드는 상태예요.

결과적으로 숨참기 시간은 늘어날 수 있지만,
블랙아웃(BO) 발생 위험이 급상승합니다.

✅ 해결 방법

  • 훈련 전 복식호흡 2~3분 → 릴랙스 루틴 유지
  • 마지막 호흡은 단 한 번, 깊게 들이마시는 정도면 충분


→ 숨을 오래 참는 게 아니라, 제대로 참는 게 중요합니다.

 

2️⃣ 몸은 긴장한 채, 멘탈만 릴랙스?

❌ 실수 ②

심리는 차분해졌는데, 몸이 긴장 상태인 경우

  • 복부에 힘이 들어감
  • 손끝/발끝 경직
  • 어깨·턱에 미세한 긴장감 유지 상태

이 상태에선 산소 소비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1분도 채 안 되어 고통이 오기 시작해요.

✅ 해결 방법

  • 릴랙스 호흡 후 몸을 바닥에 ‘녹인다’는 느낌으로 이완
  • 수영장에서는 부력 띄운 후 → 손, 턱, 어깨 순으로 이완 확인

3️⃣ 참다 보면 길어진다? 뇌가 속고 있어요

❌ 실수 ③

참다 보면 익숙해지겠지 → 실제로는 몸이 망가지고 있음

  • CO₂는 계속 올라가는데
  • 몸은 반응 없이 버티는 상태 → 위험한 저산소증으로 직진

특히 숨참기 루틴 초반에 “한계가 어딘지 시험”하려는 입문자들이
자주 이런 무리한 훈련을 반복합니다.

✅ 해결 방법

  • 훈련 루틴은 **“거부감 오기 5초 전”**까지를 목표로 반복
  • 일정 기간마다 목표시간 소폭 상승 방식 → 안전하고 효율적


→ 기록보다 중요한 건, 돌아올 수 있는 숨입니다.

 

4️⃣ 회복 호흡 없이 바로 재도전, 산소 고갈 루트

❌ 실수 ④

숨참기 후 바로 다시 시도 → 몸은 산소 회복 못한 상태

이는 다음 숨참기에서 산소 없이 시작하게 되는 셈이에요.
특히 정적 훈련에서 이 실수를 반복하면
블랙아웃까지 빠르게 도달할 수 있어요.

✅ 해결 방법

  • 숨참기 후 3~5회 회복호흡 → 2분 휴식
  • 회복호흡은 작고 빠르게 복식호흡 / 긴 숨 절대 금지

5️⃣ 초보자의 “한 번만 더”는 사고의 지름길

❌ 실수 ⑤

훈련 막판의 "욕심 한 번"이 사고로 이어짐

  • 피로 누적 + 긴장 + 루틴 무너짐 →
    → 이때는 숨참기 지속보다 회복을 우선해야 할 순간입니다.

✅ 해결 방법

  • 루틴 훈련 시 횟수와 시간 명확히 정하기 (예: 3세트, 최대 1분 20초)
  • 마지막 시도는 항상 기록 갱신이 아닌 복습 루틴으로 마무리

 

🧾 요약 정리 – 숨참기 실수, 이렇게 피하세요

실수 왜 위험한가 해결 방법 요약
과호흡 뇌가 위험 신호를 못 느껴 블랙아웃 유발 복식호흡 2~3분 후, 1회만 깊게 들숨
긴장된 몸 산소 소비 급증 → 체감 시간 짧아짐 전신 이완 루틴 훈련
무리한 버티기 저산소 위험 증가 / 실력 향상 없음 '거부감 오기 전'까지 짧게 반복
회복호흡 생략 산소 회복 없이 다시 시작 → 고갈 상태 숨참기 후 회복호흡 3~5회 + 2분 휴식
마지막 욕심 피로 누적 + 멘탈 붕괴 → 사고 유발 훈련 루틴은 계획대로 마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