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급 계산기와 주휴수당 계산법을 정확히 알아야 실제 급여를 올바르게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기준으로 주휴수당 지급 조건, 계산식, 실수 예시까지 정리했습니다.
📑 목차

아르바이트나 시간제 근로를 하다 보면 “내 시급이 맞게 계산된 걸까?” 하는 의문이 생기죠.
특히 ‘주휴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로기준법상 시급 계산과 주휴수당 지급은 법적 의무입니다.
지금부터 내 급여가 제대로 계산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준과 공식을 알아볼게요.
1️⃣ 주휴수당이란? (지급 조건 정리)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라,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수당입니다.
즉,
-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고,
- 결근 없이 일주일을 개근하면,
다음 주에 하루치 임금을 **‘쉬는 날에도 유급으로 지급’**해야 한다는 뜻이죠.
💡 예시:
월~금 하루 5시간씩 일했다면 → 주 25시간 근로
→ 주휴수당은 하루 5시간치 시급을 더 지급해야 합니다.
2️⃣ 시급 계산법과 실제 계산 예시
기본적인 시급 계산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시급 = 월급 ÷ (주당 근로시간 × 4.345)
여기서 4.345는 한 달 평균 주 수(52주 ÷ 12개월)입니다.
💡 예시:
월급 250만 원, 주 40시간 근무라면
→ 2,500,000 ÷ (40 × 4.345) = 약 14,381원/시급
3️⃣ 주휴수당 계산 공식
주휴수당은 아래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 × 시급
💡 예시:
하루 8시간, 시급 10,000원일 경우
→ 주휴수당 = 8시간 × 10,000원 = 80,000원
즉, 주 40시간을 개근했다면
다음 주 급여에 80,000원을 추가로 지급받아야 합니다.
4️⃣ 시급 계산기 활용법 및 급여 명세서 확인 포인트
요즘은 온라인에서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시급·주휴수당 계산기’**가 많습니다.
다만, 자동 계산 결과만 믿기보다는 아래 항목을 함께 체크하세요.
✅ 근무일수와 실제 출근일이 동일한지
✅ 휴게시간이 시급 계산에 포함되지 않았는지
✅ 주휴수당이 급여 명세서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는지
5️⃣ 요약 정리
- 시급 계산: 월급 ÷ (주 근로시간 × 4.345)
- 주휴수당 조건: 주 15시간 이상, 결근 없이 근무
- 주휴수당 계산: 1일 근로시간 × 시급
- 급여명세서 확인: 주휴수당 별도 표기 여부 필수
💡 Tip:
근로계약서에 근무시간과 주휴수당 지급 조건이 명시되어 있어야
노동청 신고 시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노동청 상담센터 (1350)
주휴수당 미지급, 급여 계산 오류 등이 있을 경우
가까운 고용노동부에 상담 가능합니다.
'생활법률 가이드 > 직장인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퇴직금 미지급 신고, 못 받은 돈 꼭 받아내는 법 (0) | 2025.10.31 |
|---|---|
| 직장 내 괴롭힘 신고 / 사례 (0) | 2025.10.30 |
| 부당해고 구제신청 절차 완벽정리 (2025 최신판) (0) | 2025.10.30 |
| 연차휴가 사용기준 / 수당계산 완벽정리 (2025 기준) (0) | 2025.10.29 |
| 실업급여 신청방법 / 조건 완벽정리 (2025 기준 최신판) (0) | 2025.10.29 |
| 퇴직금 계산기 / 지급기한 완벽정리 (2025~2026 기준) (0) | 2025.10.28 |
| 최저임금 2025년·2026년 기준 완벽 정리 (0) | 2025.10.28 |
| 근로계약서 작성법, 제대로 알아야 돈도 시간도 지킨다 (0) | 2025.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