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법률 가이드/직장인 법률

최저임금 2025년·2026년 기준 완벽 정리

로앤조이 2025. 10. 28. 07:00

2025년과 2026년 최저임금 비교 정리! 시간당·월급 환산 금액, 인상률, 알바·직장인별 실수령액 차이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 목차

  1. 2025년·2026년 최저임금 현황
  2. 월급으로 환산하는 계산법
  3. 주휴수당 포함 실제 수령액 계산
  4. 최저임금 위반 시 대처 방법
  5. 요약 정리

최저임금 2025년·2026년 기준 완벽 정리

 

‘내 시급이 맞게 계산된 걸까?’
매년 바뀌는 최저임금, 헷갈리셨죠?
2026년부터는 시간당 10,320원이 적용됩니다.
2025년 대비 2.5% 인상된 수치로, 직장인과 아르바이트 모두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부분이에요.
이 글에서는 2025년·2026년 최저임금 비교표, 월급 환산액, 주휴수당 포함 계산법까지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① 2025년·2026년 최저임금 현황

적용연도 시간당 최저임금 월 환산액(209시간 기준) 인상률
2025년 10,030원 약 2,097,000원 +2.5%
2026년 10,320원 약 2,157,000원 +2.9%

 

출처: 고용노동부·최저임금위원회(2025·2026 고시)

 

💡 즉, 2026년부터는 시급 10,320원 미만으로 근로자를 고용할 수 없습니다.
월급제로 일하는 경우에도 **기준 근로시간(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을 곱해 최소 월 215만 원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② 월급으로 환산하는 계산법

시급만 알고 있으면 실제 월급은 아래 식으로 간단히 계산됩니다.

 

📘 월급 = 시급 × 209시간

 

💡 예시 계산

  • 2025년: 10,030원 × 209시간 = 2,097,000원
  • 2026년: 10,320원 × 209시간 = 2,157,000원

 

즉, 2025년과 비교했을 때 월 6만 원 정도 인상된 셈이에요.
이 차이가 작아 보여도 연간으로는 약 72만 원의 소득 증가 효과가 있습니다.

💡 Tip

 

최저임금은 세전 금액입니다.
따라서 4대보험(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을 공제하면 실제 수령액은 약 1,980,000원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③ 주휴수당 포함 실제 수령액 계산

주휴수당이란,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고 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유급휴일 수당이에요.
2026년 기준 시급 10,320원을 받을 경우,
주 40시간 근무 시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주휴수당 = 1일 근로시간(8시간) × 시급(10,320원)
= 82,560원

 

즉, 월 기준으로 보면
10,320원 × 243시간(209시간 + 주휴수당 포함) = 약 2,508,000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많은 아르바이트생이 이 부분을 놓치는데,
주휴수당을 포함한 급여를 기준으로 근로계약서에 명시해야 법적으로 보호받습니다.

④ 최저임금 위반 시 대처 방법

최저임금 미만 지급은 근로기준법 제6조 위반으로 처벌 대상입니다.
✅ 신고처: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
✅ 증빙: 급여명세서, 근로계약서, 통장 입금 내역

 

💡 부당감액이나 임금체불도 신고 가능합니다.
노동청은 임금체불 사건의 70% 이상을 조정·지급 명령으로 해결합니다.

⑤ 요약 정리

구분 2025년 2026년
시간당 최저임금 10,030원 10,320원
월 환산액 (209h) 2,097,000원 2,157,000원
주휴수당 포함시 2,435,000원 2,508,000원

 

핵심 포인트 3줄 정리
1️⃣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 월 2,157,000원
2️⃣ 주휴수당 포함 시 월 250만 원 수준 가능
3️⃣ 미지급·감액 시 **노동청(1350)**에 신고 가능

 

💡 마무리 요약
최저임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근로자의 생활기준선이에요.
2026년 인상으로 물가 부담이 다소 완화되겠지만,
근로자는 주휴수당 포함 금액과 실제 수령액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정확한 계산은 곧 내 권리와 월급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