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 다이빙/🌱 입문 (체험)

프리다이빙 자격증 종류 비교 – AIDA vs SSI

버블링 (Bubble-ing) by 버멍이 2025. 7. 8. 10:00

“강습을 받을 건데 AIDA랑 SSI 중 뭘 골라야 하나요?”

 

프리다이빙을 배우려는 사람이라면
‘어느 강사를 선택해야 할지’보다 먼저 ‘어떤 자격증 체계를 따를지’ 고민하게 됩니다.
입문 강습은 대부분 AIDA 또는 SSI 중 하나로 진행되죠.
오늘은 두 체계의 실제 차이점입문자에게 적합한 선택 기준을 알려드릴게요.


→ 자격증은 다이빙의 방향을 결정짓는 기준입니다. 첫 선택이 중요해요.

 

 

프리다이빙 입문자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AIDA와 SSI 자격증, 뭐가 다를까요? 커리큘럼, 난이도, 비용, 활용도까지 실제 강습 기준으로 비교 정리했습니다.

 

🧭 목차

  1. AIDA와 SSI, 뭘 기준으로 나뉘는 걸까?
  2. 커리큘럼 & 난이도 비교
  3. 비용, 자격증 활용도, 글로벌 인지도 비교
  4. 입문자 기준 선택 가이드

프리다이빙 자격증 종류 비교 – AIDA vs SSI

 

1️⃣ AIDA와 SSI, 뭘 기준으로 나뉘는 걸까?

✅ 기본 개념 먼저 정리!

구분 AIDA SSI
명칭 국제프리다이빙협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pnea)
스쿠버/프리다이빙 통합 국제 교육기관
(Scuba Schools International)
설립 시기 1992년 1970년대 초반
중심 분야 프리다이빙 전문 스쿠버 + 프리다이빙 병행
국제성 국제 대회 운영 주체 / 기록 공인 전 세계 센터 많고 접근성 ↑
교육 철학 이론 + 수심 기술 중심 / 블랙아웃 대비 강조 체험형 + 실용 루틴 중심 / 대중화 지향

 

📌 요약하자면,
AIDA는 깊이 있는 전문 루트,
SSI는 체험 중심 대중 루트에 가까워요.

 

 

→ 무작정 따르기보다, 자격증 체계를 먼저 이해하고 시작하세요.

 

2️⃣ 커리큘럼 & 난이도 비교

두 체계는 커리큘럼 구성 방식에서 꽤 큰 차이가 있어요.

항목 AIDA 레벨1 SSI 레벨1
이론 수업 중이압, 산소/이산화탄소 역할 등 상세 기본 개념 위주 (경험 중심 설명)
정적 숨참기 1분 이상 1분 이상
동적 핀킥 25m 25m
수심 입수 약 10~12m 약 8~10m
구조 훈련 블랙아웃 시 대처법 포함 선택 항목인 경우도 있음
평가 방식 실습 + 이론 테스트 필수 이론은 앱 내 퀴즈 / 실습 위주

 

🔍 실전 난이도 차이

  • AIDA는 전체적으로 이론이 더 깊고 체계적
  • SSI접근성이 좋고 앱 기반 학습 가능

 

3️⃣ 비용, 자격증 활용도, 글로벌 인지도 비교

💰 비용 차이

  • AIDA: 강습비 45만~70만 원 (지역·강사별 차이)
  • SSI: 40만~65만 원대 (센터에 따라 더 저렴한 경우도 존재)

🌎 글로벌 활용도

  • AIDA: 세계 대회 기준 사용, 기록 공신력 높음
  • SSI: 센터 수 많고, 여행지 다이빙에 활용 쉬움

📲 디지털 시스템

  • AIDA: 전통적 오프라인 중심 (증 발급 후 기록 등록)
  • SSI: 앱으로 이론 학습 + 자격증 관리 가능

 


→ 비용보다 중요한 건, 나에게 맞는 체계로 시작하는 거예요.

 

4️⃣ 입문자 기준 선택 가이드

✅ 이런 사람은 AIDA가 잘 맞아요

  • 이론을 제대로 배우고 싶은 사람
  • 장기적으로 레벨2~3 이상까지 계획 있는 사람
  • 국제 기록에 관심 있거나 대회 출전 생각 중
  • 구조·응급 훈련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

✅ 이런 사람은 SSI가 잘 맞아요

  • 빠르게 체험 위주로 배우고 싶은 사람
  • 앱으로 공부하고 실습은 짧게 진행하고 싶은 사람
  • 여행지에서 간단한 자격 인증용으로 사용하고 싶은 경우
  • 강사 선택 폭이 넓고 비용 부담이 적은 곳을 찾는 경우

📌 요약하면:
“깊게 배울 거라면 AIDA, 가볍게 시작할 거라면 SSI”

 

🧾 요약 정리 – AIDA vs SSI, 이렇게 정리하세요

항목 AIDA SSI
교육 성격 정석 + 이론 중심 체험 + 실용 중심
수심 기준 10~12m 8~10m
구조 교육 필수 포함 선택 포함
비용 다소 높은 편 상대적으로 저렴
앱/디지털 시스템 없음 앱 제공
추천 대상 체계적 훈련 원하는 입문자 빠른 입문 원하는 체험형 학습자